SAR과 SD(Sigma-Delta) ADC를 비교해보다.

Sigma Delta컨버터(녹색)와 SAR(빨강)의 비교 요즘 이런저런 일이 많아 블로그 관리가 소홀하다. 오늘은 매우 짧은 포스팅을 할  생각이다. 연구실에서는 주로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따라서 고주파는 필요없는 경우가 많다. 보통 ECG와 같이 심박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칩에서 Sigma Delta 컨버터를 탑재하는 경우가 많다. Sigma Delta 컨버터의 원리가 복잡해  설명하기 매우 난해하지만 오버 샘플링으로 양자화 잡음을 최대한 줄이고 노이즈 […]

SAR과 SD(Sigma-Delta) ADC를 비교해보다. 더 읽기"

MCP1826S 사용 이유 알아보기

MCP1826S – 리니어 레귤레이터 선택 이유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 시리즈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를 만들어보자. (아두이노 DIY 보드 만들기) MCP1826S 사용 이유 알아보기(레귤레이터)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 아트메가 보드에서 만들기 (Arduino ISP) 아두이노 FT232RL 회로에 대한 고찰   이 포스트는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 설계의 부록이다.   1. 리니어 레귤레이터는 뭐하는 놈인가? 우리는 레귤레이터를 알 필요가 있다. 레귤레이터는

MCP1826S 사용 이유 알아보기 더 읽기"

ESP32 커스텀 보드를 설계해보자. (ESP32 DIY 보드 설계)

ESP32 보드 설계를 포스팅했습니다.  (ESP32 DIY 보드 설계)   오랜만의 포스팅이다. 원래는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 개발보다 ESP 커스텀 보드 개발이 더 빨랐다. 졸업 작품 시기다보니 잠시 포스팅을 보류했지만, 이제는 포스팅해도 될 것 같다.   자료는 NODEMCU의 스케메틱과 ESP 개발 가이드를 참고했다. 전체 회로도는 아래와 같다.   그림 1. ESP 커스텀보드 회로   크게 전원회로, 자동

ESP32 커스텀 보드를 설계해보자. (ESP32 DIY 보드 설계) 더 읽기"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를 만들어보자. (아두이노 DIY 보드 만들기)

아두이노 보드 설계 포스팅입니다. (DIY 보드 만들기)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 시리즈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를 만들어보자. (아두이노 DIY 보드 만들기) MCP1826S 사용 이유 알아보기(레귤레이터)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 아트메가 보드에서 만들기 (Arduino ISP) 아두이노 FT232RL 회로에 대한 고찰 최근에 아두이노 개발을 의뢰받은 적이 있다. 사실 아두이노에 빵판 박아서 쓰면 부피가 크지 않나. 거두절미하고 회로부터 보자 아두이노 기본 회로 요청받은

아두이노 커스텀 보드를 만들어보자. (아두이노 DIY 보드 만들기) 더 읽기"

MOSFET(N-TYPE) 사용시 주의할 점

MOSFET(N-TYPE) 주의점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근 2주만의 포스팅이다. 요즘 일이 많기도 하고, 올릴 컨텐츠도 딱히 많지도 않았다.   MOSFET은 보통 스위칭 소자로 많이 쓴다. 이게 뭔 말이냐면, STM32칩과 같은 MCU로 대신 전원을 켜고 꺼줄 수 있단 말이다.   블루투스로 전등을 끄라고 MCU에 명령을 줬는데, 주인이 옛!하고 달려가서 불을 끌 수 없지 않나. 그러면 MCU를 쓰는

MOSFET(N-TYPE) 사용시 주의할 점 더 읽기"

리눅스에서 Make 할 때 CPU 코어 다 활용하기

오늘은 간단한 포스팅이다. make를  사용해서 컴파일을 할 때 컴퓨터 사양에 비해 느리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   그때는 make all -j(컴퓨터 코어 수) 명령어를 사용하시라.   이를테면, 필자는 라이젠7을 사용중이므로 8코어 16쓰레드를 사용중이다.   여기서는 논리 프로세서도 포함하므로 make all -j16을 하면 된다. 엄청 빨라질 것이다.   모든 코어를 다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리눅스에서 Make 할 때 CPU 코어 다 활용하기 더 읽기"

ESP32 리눅스 툴체인과 ESP-IDF 세팅하기

ESP32 ESP-IDF 설정 포스팅입니다. 최근에 업데이트된 자료는 이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오늘은 연구실 컴퓨터에 ESP 기초 세팅을 했다. WINDOWS 10 기반 시스템이다보니 우분투가 설치가 된다. [관련 자료] 우분투를 설치하고 나서 Vim과 같은 기초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가정하고 글을 작성한다. 1. ESP Toolchain 설치하기 bash 창에 wget https://dl.espressif.com/dl/xtensa-esp32-elf-linux64-1.22.0-73-ge28a011-5.2.0.tar.gz 를 입력한다. 다운로드가 끝나면 tar -xvf xtensa-esp32-elf-linux64-1.22.0-73-ge28a011-5.2.0.tar.gz 를 입력하고 압축을

ESP32 리눅스 툴체인과 ESP-IDF 세팅하기 더 읽기"

STM32F103 SPI 통신 코드 작성하기

STM32F103 SPI 통신 목차 STM32F103 SPI 통신 CUBEMX로 초기 설정하기 STM32F103 SPI 통신 코드 작성하기 (현재 포스팅)   SPI 통신의 기본 원리는 데이터를 쓴 만큼 데이터를 받는다. 이 말은 즉 데이터를 받고 싶으면 그 만큼 더미데이터를 보내야 한다는 뜻이다. 이번 포스팅은 SPI를 사용하는 ADC 칩과 통신하고자 한다.   처음 SPI를 시작할 때 ADC 칩을 초기화 해야한다.

STM32F103 SPI 통신 코드 작성하기 더 읽기"

공유기 어댑터 구매 팁

공유기 어댑터 구매시 고려해야할 점에 대해 서술한 포스팅입니다.   IP**社 공유기 어댑터는 부실하다. 전원 공급 가능량이 적다보니 시간이 흘러 공급량이 더 줄어들다보면 통신 품질에 영향을 준다. 인터넷이 끊긴다던가, 엄청 느려지던가.   참, TP**社 공유기도 끊기고 느려지는 증상이 있다더라. 공유기 어댑터를 더 좋은걸로 바꿨더니 해결되었다는 후기를 본 적 있다.   그래서 뭘 구매해야할 지 고민이 될

공유기 어댑터 구매 팁 더 읽기"

STM STUDIO 사용하기

오늘은 STM STUDIO 를 포스팅한다. [다운로드 링크] STM STUDIO는 IDE가 아니다. 실시간으로 필요한 변수의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툴이다. 테스트 보드로 STM NUCLEO를 사용했다. STM STUDIO를 시작하자. STM STUDIO초기화면 STM STUDIO 상단에서 ST-LINK SWD 좌측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자. 빨간색 표시된 버튼을 클릭하자. 본인이 사용하는 프로젝트 폴더를 보면 Debug 폴더가 있다. 들어가면 “프로젝트명.elf” 파일이 있다.

STM STUDIO 사용하기 더 읽기"

땜질 온도를 조심하자.

어느날 칩을 땜질하고 테스트해보니 MISO핀이 계속 HIGH를 치고 있더라. 칩이 죽어버린 것이다. 아아.. 내 9시간.. 땜질 온도가 기가 막히다.   결론은 땜질 온도도 신경을 써야한다는 사실이다. 그동안 350도로 잘만 땜질하고 써먹어서 문제 없는 줄 알았더니 아니었나보다. 위처럼 개복치 칩만나서 고생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시트를 참고하는 습관을 들이자. 변환기판을 사용해 빵판에 꼽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먼저 핀 헤더를

땜질 온도를 조심하자. 더 읽기"

STM32F103 SPI 통신 CUBEMX로 초기 설정하기

STM32F103 SPI 통신 목차 STM32F103 SPI 통신 CUBEMX로 초기 설정하기 (현재 포스팅) STM32F103 SPI 통신 코드 작성하기 인터넷을 뒤져봐도 국내 블로그에서는 SPI를 다룬 글이 잘 없다. 요즘 근 일주일 동안 SPI 통신 칩 데이터 시트를 뒤져보고 HAL 드라이버도 뺑이쳐보고 온갖 삽질을 다해봤는데, 그 중에서 성공했던 세팅만 이 포스팅에 요약하고자 한다. 언제나 그렇듯 CUBEMX를 실행시킨다. CUBEMX 설정

STM32F103 SPI 통신 CUBEMX로 초기 설정하기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