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Post » KICAD » KICAD 5.0.0버전 튜토리얼 PART 3

KICAD 5.0.0버전 튜토리얼 PART 3

KICAD 기초 튜토리얼 목차

  1. KICAD 5.0.0버전 튜토리얼 PART 1
  2. KICAD 5.0.0버전 튜토리얼 PART 2
  3. KICAD 5.0.0버전 튜토리얼 PART 3  (현재 포스팅)

 

아주 기초적인 튜토리얼은 이번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하려한다. via 홀을 뚫는거나, 구리 동박을 씌우는 것, 라이브러리를 수정하는 것 등은 KICAD가 안정화 되고 개인적인 여유가 있으면 업로드 하겠다.

 

상단의 PCB를 누른다.

가속화 쓸거냐고 물어보는데 난 사용하기로 했다.

 

검은 화면이 나온다. 레이아웃이 잘 보이지 않는다

 

만든 넷리스트를 가지고 온다.

 

열어보자.

 

쨘 이렇게 두 개의 소자가 불러진다.

소자를 끌어서 배치해도 되고, M버튼을 눌러서 이동해도 된다.

소자 회전이 필요하면 M키를 눌러 이동이 가능해진 상태에서 R을 누르면 된다.

 

저 상태로 회로를 끝내도 되지만, 파워 꼽을 커넥터를 구성하면 좋을 듯 하다.

스케메틱으로 돌아가서 2핀 커넥터를 선택한다.

 

기존의 파워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리고 C키를 눌러 복사한 뒤, 배치한다.

 

이건 핀헤더로 구성하면 좋을 것 같다.

 

이렇게 생겼다.

 

넷리스트를 다시 불러오고, 재배치한다.

 

우측에 있는 초록색 선을 클릭하고,  F.Cu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F.Cu : 앞면(Front)에 구리선을 그리고 싶을 때 선택한다.
  • B.cu : 뒷면(Back)에 구리선을 그리고 싶을 때 선택한다. SMD 타입의 경우 소자를 뒷면에 배치하지 않는 이상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없다.

 

초록색 선이 클릭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노드끼리 연결한다.

 

이제 PCB의 크기를 결정지어야 한다.

파란색 선을 클릭하고 Edge.Cuts을 선택해 아웃라인을 그릴 준비 하자.

 

이렇게 아웃라인을 그려주자.

 

그럼 PCB의 크기가 결정된다.

 

다 그렸으면 발주를 넣을 준비를 하면 된다.

 

파일 – Plot 버튼을 누른다.

 

디렉토리를 지정해준다.

 

상대 경로를 지정할 것이냐 묻는건데, 뭘 눌러도 상관 없다.

 

드릴 파일을 생성하자

드릴 유닛이 밀리미터가 맞는지 확인하고 파일을 생성한다.

 

레이어가 제대로 체크가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플로트한다.

 

 

생성된 파일을 압축해서 업체에 넘기면 된다.

 

 

 

댓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